11/20
우선적으로 jpa를 통한 조회, 입력에 대한 api 작성 후 QueryDsl 적용
public interface Subscribe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<Subscribe, Long> {
List<Subscribe> findByAuthorUuid(String authorUuid);
}
조회 api test 후 캡처
@RequiredArgsConstructor
@RestController
@RequestMapping("/write/subscribe")
public class SubscribeReadController {
private final SubscribeService subscribeService;
// Todo: api 테스트용 컨트롤러, Kafka 연동 후 삭제
@Operation(summary = "구독자 목록 조회 API", description = "해당 게시글 글쓴이의 알림 신청인 목록을 조회합니다.", tags = {"Subscribe"})
@GetMapping("/{authorUuid}")
public BaseResponse<SubscribeResponseVo> getSubscribers(@RequestParam String authorUuid) {
return new BaseResponse<>(subscribeService.getSubscribers(authorUuid).toVo());
}
}
get api (글쓴이와 게시글 알림 받는 회원 uuid)
11/21
post api (글쓴이와 게시글 알림 받는 회원 uuid를 전달하여 등록)
delete api (글쓴이와 게시글 알림 받는 회원 uuid를 전달하여 삭제)
이후 이슈를 통해 querydsl 조회방식으로 변경
이후 이슈를 통해 feed 에 대한 필드 추가 (req/res dto,vo에 알림에 보낼 형식에 대한 필드값 추가 필요)
listener를 통해 처리할 예정 ← kafka 이용법 재학습 필요 Q. XXXListener 를 Listener 계층을 만들어 처리해야하는지, Service계층 내에 XXXListener.class를 통해 처리할지